티스토리 뷰

반응형

[완벽에 대한 반론] 마이클 샌델 저서 – 생명윤리에 대한 철학적 성찰

data-ke-size="size16">과학기술의 발전은 인간에게 새로운 능력을 부여해왔습니다. 유전자 조작, 기억력 향상, 감정 조절 등은 더 나은 인간을 만들고자 하는 욕망에서 출발했습니다. 그러나 마이클 샌델은 『완벽에 대한 반론(The Case Against Perfection)』에서 묻습니다. "완벽해진다는 것은 정말 인간에게 이로운가?" 이 글에서는 샌델의 주요 주장을 살펴보며, 우리가 놓치고 있는 인간다움과 삶의 윤리에 대해 생각해봅니다.

1. 유전자 조작, 어디까지 허용할 것인가

현대 생명공학의 발전은 CRISPR-Cas9 등 유전자 편집 기술을 통해 유전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습니다. 그러나 샌델은 질병 치료를 넘어 인간 능력까지 조작하려는 시도가 인간 존재의 윤리적 기반을 흔들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특히 부모가 자녀의 지능이나 외모를 설계하게 되면, 아이는 있는 그대로의 존재가 아니라 사회적 기준과 기대에 따라 만들어진 '기획된 존재'가 됩니다. 이는 인간 존재의 자연스러움과 삶에 대한 겸손함을 침식시킬 수 있습니다.

유전자 조작이 보편화되면, 최적의 조건을 갖추지 못한 선택은 비난받을 수 있으며, 자유는 압박으로 전환됩니다. 샌델은 이를 '유전자 불평등(gene inequality)'이라고 설명하며, 우연성이 사라지고 모든 능력이 경쟁의 산물이 될 때 인간 사회는 도덕적 기반을 잃게 된다고 지적합니다.

2. 강화된 인간, 더 나은 인간인가?

오늘날 우리는 리탈린, 성장호르몬, 뇌파 조절 장치 등 인간 능력을 향상시키는 기술에 접근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은 치료를 넘어 향상(enhancement)의 수단으로 쓰이면서 부유한 계층만이 그 혜택을 누리는 양극화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이 보편화되면 인간의 성취는 노력보다는 기술의 산물로 인식되며, 자기 수용의 가치가 훼손됩니다. 샌델은 특히 성공에 대한 존중이 줄어들고, 도덕적 기반이 흔들릴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그는 정의로운 사회란 단순히 자원을 공평하게 분배하는 것이 아니라, 어떤 특성과 성취를 존중할지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포함한다고 봅니다. 삶의 우연성을 받아들여야만 인간다운 관계와 공감이 가능하다는 것이 그의 핵심 메시지입니다.

3. 선택할 수 없는 것에 대한 존중

샌델은 인간 존재의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받아들임(acceptance)"이라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삶을 완전히 통제하고 설계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은 오히려 우리를 불안하게 하고, 인간관계를 조건적으로 만듭니다.

그는 사랑의 조건화를 경계하며, 인간은 존재 자체로 소중한 것임을 강조합니다. 재능과 능력 또한 선택이 아닌 주어진 것임을 인식할 때, 우리는 타인의 약점이나 실패를 포용할 수 있는 겸손을 배울 수 있습니다.

기술이 발전할수록, 우리는 그 기술을 어떤 가치관으로 다룰 것인가에 대한 철학적 기반이 필요합니다. 선택할 수 없는 조건 속에서 의미를 발견하고, 함께 살아가는 공동체를 구성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인간다움의 실현입니다.

🌱 완벽함보다 중요한 것들

『완벽에 대한 반론』은 기술 발전 자체를 반대하는 책이 아닙니다. 오히려 기술을 어떻게 윤리적으로 사용할 것인지, 인간다움을 어떻게 지킬 것인지에 대한 성찰을 촉구하는 선언문입니다. 우리는 완벽이 아닌 불완전함 속에서 서로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공동체를 이루어야 합니다.

모든 것을 설계할 수 있다는 믿음은 인간을 프로젝트로 만들 뿐, 그 존재 자체의 가치를 훼손할 수 있습니다. 샌델은 우리에게 묻습니다. "여러분은 완벽함 속의 경쟁 사회와, 우연성과 겸손 속에서 공존하는 인간적인 사회 중 어디에서 살고 싶습니까?"

과학기술 발전은 인간에게 새로운 능력을 부여해 왔습니다. 유전공학, 뇌 기능 강화, 기억력 개선, 심지어 감정 조절까지. 모두 우리가 더 완벽해지고자 하는 욕망에서 비롯된 개술입니다. 하지만 마이클 샌델 (Michael Sandel) 은 '완벽해진다는 것은 정말 인간에게 이로운가?'라고 되묻습니다. 그의 책 [완벽에 대한 반론(The Case Against Perfection)]은 윤리적 딜레마 속에서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인간다움, 겸손, 삶의 우연성에 대해 날카롭게 파헤칩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그 주요 내용을 살펴보며, 우리가 '완벽'이라는 이상에 너무 집착하고 있진 않은 지 되돌아보려 합니다. 

반응형